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 연산자
    24년 11월 이전/백기선의 Study Halle 2020. 11. 25. 16:46
    반응형

    백기선님의 온라인 스터디 "스터디 할래" 3주차 정리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자바 오라클 문서를 토대로 만들었습니다.

    목표

    자바가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자를 학습하세요.

    학습할 것

    • 산술 연산자
    • 비트 연산자
    • 관계 연산자
    • 논리 연산자
    • instanceof
    • assignment(=) operator
    • 화살표(->) 연산자
    • 3항 연산자
    • 연산자 우선 순위
    • (optional) switch 연산자 (Java 13)

    산술 연산자

    자바의 산술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연산자 설명
    + 덧셈 연산자
    - 뺄셈 연산자
    * 곱셈 연산자
    / 나눗셈 연산자
    % 나머지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이항 연산자"이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 피연산자1 연산자 피연산자2
    a + b

    여기서 a, b는 피연산자 +는 연산자이다. 이 때 a, b는 실수형, 정수형 타입이다.(코틀린, 스칼라에서는 연산자를 재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타입이 들어갈 수 있다.) 각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덧셈

    @Test
    public void test_add(){
        int a = 5, b = 3;
        // 아래 코드가 덧셈 연산자 쓰는 곳!
        int res = a + b; 
        assertEquals(8, res);
    }

    뺄셈

    @Test
    public void test_sub(){
        int a = 5, b = 3;
        // 아래 코드가 뺼셈 연산자 쓰는 곳!
        int res = a - b;
        assertEquals(2, res);
    }

    곱셈

    @Test
    public void test_mul(){
        int a = 5, b = 3;
        // 아래 코드가 곱셈 연산자 쓰는 곳!
        int res = a * b;
        assertEquals(15, res);
    }

    나눗셈

    @Test
    public void test_div(){
        int a = 5, b = 3;
        // 아래 코드가 나눗셈 연산자 쓰는 곳!
        int res = a / b;
        assertEquals(1, res);
    }

    나머지

    @Test
    public void test_rem(){
        int a = 5, b = 3;
        // 아래 코드가 나머지 연산자 쓰는 곳!
        int res = a % b;
        assertEquals(2, res);
    }

    나눗셈과 나머지 연산은 만약, "피연산자 2"가 0이면 ArithmeticException을 발생시킨다.

    // 테스트 코드 실행 중 발생하는 `Exception`을 테스트
    // 나눗셈과 나머지 연산은 피연산자 2가 0이면 예외가 발생한다.
    @Test(expected = ArithmeticException.class)
    public void test_div_failed(){
        int a = 5, b = 0;
        // 아래 코드가 나눗셈 연산자 쓰는 곳! 피연산자 2(b)가 0
        int res = a / b;
        assertEquals(1, res);
    }
    
    @Test(expected = ArithmeticException.class)
    public void test_rem_failed(){
        int a = 5, b = 0;
        // 아래 코드가 나머지 연산자 쓰는 곳! 피연산자 2(b)가 0
        int res = a % b;
        assertEquals(2, res);
    }

    비트 연산자

    비트 연산자는 정수형 타입에 대해서 "비트 연산"을 한다. 이들은 "산술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이항 연산자"이다. 자바에서 제공되는 비트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연산자 설명
    & AND 연산
    | OR 연산
    ^ XOR 연산
    << left shift 연산
    >> right shift 연산

    여기서 비트 연산 AND, OR, XOR은 1, 0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연산된다.

    AND

      0 1
    0 0 0
    1 0 1

     

    예를 들어 0001 과 0011 을 AND 연산을 하면, 0001의 결과를 가질 수 있다.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Test
    public void test_bit_and(){
        int a = 0x0001;
        int b = 0x0011;
        int res = a & b;
        assertEquals(0x0001, res);
    }

    OR

      0 1
    0 0 1
    1 1 1

     

    예를 들어 0001 과 0011 을 OR 연산을 하면, 0011의 결과를 가질 수 있다.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Test
    public void test_bit_or(){
        int a = 0x0001;
        int b = 0x0011;
        int res = a | b;
        assertEquals(0x0011, res);
    }

    XOR

      0 1
    0 0 1
    1 1 0

     

    예를 들어 0001 과 0011 을 XOR 연산을 하면, 0010의 결과를 가질 수 있다.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Test
    public void test_bit_xor(){
        int a = 0x0001;
        int b = 0x0011;
        int res = a ^ b;
        assertEquals(0x0010, res);
    }

    Left Shift
    Left Shift 비트 연산자는 비트를 왼쪽으로 1bit씩 민다. 예를 들어 0001이 있다면, 0010이 된다.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Test
    public void test_bit_left_shift(){
        int a = 0x0001;                 // 0x0001 = 00000001
        int res = a << 1;
        assertEquals(0x0002, res);      // 0x0002 = 00000010
    }

    Right Shift
    Right Shift 비트 연산자는 비트를 오른쪽으로 1bit씩 민다. 예를 들어 0010이 있다면, 0001이 된다. 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Test
    public void test_bit_right_shift(){
        int a = 0x0002;                 // 0x0002 = 00000010
        int res = a >> 1;
        assertEquals(0x0001, res);      // 0x0001 = 00000001
    }

    Right Shift 비트 연산자는 조금 특별한게 있는데, ">>", ">>>" 이렇게 두 가지가 있다. 각각 ">>"는 sign 비트를 유지하고, ">>>" 0을 넣어준다. 무슨 뜻이냐면 코드를 보면 이해할 수 있다.

    @Test
    public void test_bit_right_shift2(){
        int a = -2;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
        int res = a >> 1;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assertEquals(-1, res);  
    }

    오른쪽으로 쉬프트할 때, 가장 최상위의 bit가 유지된다. 반면에 ">>>" 연산자를 써보자.

    @Test
    public void test_bit_right_shift3(){
        int a = -2;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
        int res = a >>> 1;      // 0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assertEquals(2147483647, res);
    }

    이때는, 상위비트가 유지되지 않고 0으로 채워지며 오른쪽으로 비트가 이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관계 연산자

    각 값을 비교하는 것이 이 연산자의 역할이다. 자바가 제공하는 관계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역시 이항 연산자이다.

    연산자 설명
    == equal to
    != not equal to
    > greater than
    >= greater than or equal to
    < less than
    <= less than or equal to

    == 연산자
    이 연산자는 기본 타입의 경우 값이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참조 타입의 경우 같은 참조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est
    public void test_equal_to_primitive_type() {
        int a = 5, b = 5;
        assertTrue(a == b);
    }
    
    @Test
    public void test_equal_to_reference_type() {
        // 같은 값을 가지나, 참조가 다르다.
        Person p1 = new Person(29, "gurumee");
        Person p2 = new Person(29, "gurumee");
        // 이 연산자의 결과는 실패를 가진다.
        assertFalse(p1 == p2);
    }

    != 연산자
    이 연산자는 == 연산자의 반대이다. 값이 다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역시 기본 타입일 때는, 그 값을 참조 타입일 때는 참조에 대해서 판단한다.

     @Test
    public void test_not_equal_to_primitive_type() {
        int a = 5, b = 5;
        // a == b 이기 때문에 실패를 반환한다.
        assertFalse(a != b);
    }
    
    @Test
    public void test_not_equal_to_reference_type() {
        Person p1 = new Person(29, "gurumee");
        Person p2 = new Person(29, "gurumee");
        // 서로 다른 참조이기 때문에 참을 반환한다.
        assertTrue(p1 != p2);
    }

    > 연산자
    이 연산자는 피연산자 1이 피연산자 2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Test
    public void test_greater_than() {
        int a = 7, b = 5;
        assertTrue(a > b);
    
    
        a = 5;
        assertFalse(a > b);
    }

    >= 연산자
    이 연산자는 피연산자 1이 피연산자 2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Test
    public void test_greater_than_or_equal_to() {
        int a = 7, b = 5;
        assertTrue(a >= b);
    
        a = 5;
        assertTrue(a >= b);
    }

    < 연산자
    이 연산자는 피연산자 1이 피연산자 2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Test
    public void test_less_than() {
        int a = 3, b = 5;
        assertTrue(a < b);
    
    
        a = 5;
        assertFalse(a < b);
    }

    <= 연산자
    이 연산자는 피연산자 1이 피연산자 2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Test
    public void test_less_than_or_equal_to() {
        int a = 3, b = 5;
        assertTrue(a <= b);
    
    
        a = 5;
        assertTrue(a <= b);
    }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AND, OR, NOT이며, 참과 거짓에 대해서 판단한다. 자바에서 제공하는 논리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연산자 설명
    && AND
    || OR
    ! NOT

    AND 연산자
    논리적으로 피연산자 2개가 모두 참일 때, 참 그 외에는 거짓을 나타낸다. 피연산자1이 거짓일 경우, 연산은 피연산자1만 하고 넘어간다.

      true fals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코드로 보면 다음과 같다.

    @Test
    public void test_and() {
        int a = 1, b = 2;
        assertTrue(a == 1 && b==2);
    
        // a == 1이 거짓이 되기 때문에 False를 반환한다.
        a = 3;
        assertFalse(a == 1 && b==2);
    }

    OR 연산자
    논리적으로 피연산자 2개가 하나라도 참일 때, 참 모두 거짓일 때만 거짓을 나타낸다. 피연산자 1이 참일 경우 연산은 피연산자1만 하고 넘어간다.

      true false
    true true true
    false true false

    코드로 보면 다음과 같다.

    @Test
    public void test_or() {
        int a = 1, b = 2;
        assertTrue(a == 1 || b==2);
    
        // a == 1이 거짓이 되더라도 b == 2를 만족하기 때문에 True를 반환한다.
        a = 3;
        assertTrue(a == 1 || b==2);
    
        // a == 1, b == 2를 둘다 불만족하기 때문에 False를 반환한다.
        b = 7;
        assertFalse(a == 1 || b==2);
    }

    NOT 연산자
    피연산자 1개의 논리를 반전시킨다. 참이라면 거짓을, 거짓이라면 참을 반환한다.

      NOT
    true fasle
    false true

    코드로 보면 다음과 같다.

    @Test
    public void test_not() {
        int a = 7;
        // a == 7 의 논리를 반전시키기 때문에 False가 나온다.
        // 아래 코드의 경우 a != 7 로 쓰는게 관례이다.
        assertFalse(!(a == 7));
    }

    instanceof

    instanceof 연산자는 객체가 어떤 클래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코드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Test
    public void test_instanceof() {
        String s = "test";
        assertTrue(s instanceof String);
    }

    인터페이스를 구현 혹은 상위 클래스를 상속하는 하위 클래스가 여러 개 일때 각 클래스마다 다른 동작을 부여하고 싶을 때, 좋은 연산자이다. 이런 식으로 말이다.

    @Test
    public void test_instanceof2(){
        Object [] arr = new Object[] {
                1,
                "test",
                2.0
        };
    
        for (Object o : arr) {
            if (o instanceof Integer) {
                System.out.println("Integer");
            } else if (o instanceof Double) {
                System.out.println("Double");
            } else if (o instanceof String) {
                System.out.println("String");
            } else {
                System.out.println("I don't know type");
            }
        }
    }

    assignment(=) operator

    이거는 값을 할당하는 연산자이다. 여태까지 코드를 봤을 때 쭉 써왔다.

    타입 변수 = 값;

    이런 형태로 쓰는데 코드로 보면 다음과 같다.

    int a = 7;

    위의 경우 a라는 정수형 변수에 7이라는 값을 할당 시킨 것이다. 또한 산술 연산자와 합쳐질 수도 있다.

    +=, -=, *=, /=, %=, &=, ^=, !=, <<=, >>=, >>>=

    화살표(->) 연산자

    이것은 자바 8에 추가된 "람다"를 지원하기 위한 연산자이다. 자바에서 람다는 무명 인터페이스와 같다. 먼저 다음의 인터페이스가 있다고 해보자.

    public interface IntOperator {
        int operate(int a, int b);
    }

    이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만들어도 되지만 간단하게 무명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처럼 말이다.

    @Test
    public void test_lambda() {
        IntOperator op = new IntOperator() {
            @Override
            public int operate(int a, int b) {
                return a + b;
            }
        };
        int res = op.operate(5, 3);
        assertEquals(8, res);
    }

    이를 람다식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est
    public void test_lambda() {
        IntOperator op = (a, b) -> a + b;
        int res = op.operate(5, 3);
        assertEquals(8, res);
    }

    간단하게 무명 인터페이스 코드를 축약하는 연산자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 무명 인터페이스가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는 딱 1개의 메소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Java 13에서 switch 식과 함께 쓸 수 있다. 이는 아래 절을 참고한다.

    3항 연산자

    3항 연산자는 if-else문을 축약하는 문법이다. 만약 다음 코드가 있다고 해보자.

    @Test
    public void test_triple_operator(){
        int a = 5, b = 3;
    
        if (a == 5) {
            b+=1;
        } else {
            b-=1;
        }
    
        assertTrue(b == 4);
    }

    이 문법을 다음과 같이 축약할 수 있다.

    @Test
    public void test_triple_operator(){
        int a = 5, b = 3;
        b = (a == 5) ? (b + 1) : (b - 1);
        assertTrue(b == 4);
    }

    기본적으로 다음처럼 쓰면 된다.

    (조건문) ? 식1 : 식2

    조건문이 참일 때 식1이 실행되고 거짓이면 식2가 실행된다.

    연산자 우선 순위

    다음은 자바가 제공하는 연산자의 우선순위이다.

    순위 연산자 표현식
    1 후위 연산자 expr++, expr--
    2 단항 연산자 ++expr, --expr, +expr, -expr, ~, !
    3 산술 연산자 *, /, %
    4 산술 연산자 +, -
    5 비트 시프트 연산자 <<, >>, >>>
    6 관계 연산자 <, <=, >, >=, instanceof
    7 동등 연산자 ==, !=
    8 비트 연산자 &, ^, |
    9 논리 연산자 &&, ||
    10 삼항 연산자 ?:
    11 할당 연산자 =, +=, -=, *=, /=, %=, &=, ^=, !=, <<=, >>=, >>>=

    switch 표현식 (Java 13)

    일반적으로, 자바에서 분기문은 if, if-else, if-else if-else 그리고 switch가 있다. 한 변수에 대해서 여러 분기를 처리할 때 switch문을 쓴다.

    @Test
    public void test_switch() {
        String level = "C";
    
        switch (level) {
            case "A":
            case "B":
                System.out.println("BASIC");
                break;
            case "C":
                System.out.println("EXPERT");
                break;
            case "D":
            case "E":
                System.out.println("Professional");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I don't know");
                break;
        }
    }

    위의 코드는 level에 대해서 "A", "B"면 "BASIC"을, "C"면 "EXPERT"를, "D", "E"면 "Professional"를, 나머지는 "I don't know"를 출력하게 한다.

    그런데, 자바 13부터는 switch문이 아니라 switch식이라고 표현된다. 이 말은 switch 가 값을 갖는다는 뜻이다. 다음처럼 쓸 수 있다.

    @Test
    public void test_switch() {
        String level = "C";
        String result = switch (level) {
            case "A", "B" -> "BASIC";
            case "C" -> "EXPERT";
            case "D", "E" -> "Professional";
            default -> "I don't know";
        };
        assertEquals("EXPERT", result);
    }

    ->이걸 써도 되고 yield를 써도 된다. 다음 처럼 말이다.

     @Test
    public void test_switch() {
        String level = "C";
        String result = switch (level) {
            case "A", "B": yield "BASIC";
            case "C": yield "EXPERT";
            case "D", "E": yield "Professional";
            default: yield "I don't know";
        };
        assertEquals("EXPERT", result);
    }

    이 때, 빌드 옵션에 --enable-preview를 주어야 한다. 현재 IDE에서는 에러 표시를 내고 있다. 하하;; 중요한 것은 switch에서 분기되는 값이 result에 할당이 된다는 것이다.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