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정렬 알고리즘 7부 기수 정렬
    레거시/레거시-자료구조 2019. 9. 15. 12:36
    반응형

    Contents

    1. 시작하며...
    2. 기수 정렬의 이해와 구현
    3. 기수 정렬의 성능 분석
    4. 마치며...

    시작하며...

    구르미의 "Computer Science 정복하기 - 자료구조"의 열 아홉 번째 장입니다. 이 장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수 정렬의 이해와 구현
    • 기수 정렬의 성능 분석
    • 현재까지 공부한 정렬 알고리즘들의 성능 비교

     

    이 장의 소스코드는 다음을 참고해주세요.

     

    url: https://github.com/gurumee92/datastructure
    branch: ch19
    code directory: src/ch19

     

    자 시작합시다!

    기수 정렬의 이해와 구현

    보통 정렬 알고리즘의 최고 성능의 한계는 O(N * logN)이라고 합니다. 이번 장에서는 특정 제약 조건 속에서 이 한계를 뛰어넘는 정렬 알고리즘 기수 정렬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여태까지 배운 정렬 알고리즘은 비교 연산이 핵심 연산이었습니다. 그러나 기수 정렬은 비교를 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해선 다음의 제약 조건이 붙습니다.

     

    정렬 데이터들은 특정 길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음 데이터들은 기수 정렬만으로는 정렬을 할 수 있습니다.

     

    ["red", "why", "zoo", "box"]

     

    위의 단어들은 길이가 3으로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음 데이터들은 기수 정렬만으로 정렬을 할 수 없습니다.

     

    [-21, 136, 7, 5, -145]

     

    다음 데이터들도 마찬가지죠.

     

    ["professionalism", "data", "structure", "algorithm"]

     

    이 때는 데이터의 길이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이 있어야 합니다. 한 번 예를 통해서 기수 정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다음의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하지요.

    배열 134, 224, 232, 122 는 모두 3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자리에서 십의 자리 숫자는 0~9로 표현할 수 있지요. 이 숫자들을 담기 위한 버킷을 만듭니다.

    배열을 순서대로 돌아, 1의 자리 숫자에 맞는 버킷에 데이터를 넣습니다.

    그리고 0~9 번 버킷을 순서대로 돌아 데이터를 차례대로 빼내서 다시 배열에 저장합니다.

    이 과정을 백의 자릿수까지 반복합니다.

    짜잔! 이렇게 쉽게 정렬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기수 정렬을 하면서, 비교 연산을 단 한 번도 하지 않았습니다. 오로지 해당 숫자에 맞는 버킷에 담고 다시 빼내는 과정만 반복했을 뿐입니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기수 정렬하는 방식을 LSD 방식이라고 합니다.

     

    참고! MSD 기수 정렬

    이와 반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기수 정렬하는 방식을 MSD 방식이라고 합니다. LSD는 모든 자릿수에 대해 정렬해야 제대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지만, MSD 방식은 정렬 중간에 이미 정렬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이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별도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 최악의 경우 두 알고리즘 모두 같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조금 더 쉬운 LSD 기수 방식을 설명하였습니다.

     

    이를 표현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src/ch19/main.c

    #include <stdlib.h>
    
    #include "Queue.h"
    
    #define BUCKET_NUM 10
    
    void enqueue(Queue * pq, int * pData) {
        Enqueue(pq, pData);
    }
    
    int dequeue(Queue * pq) {
        int * pData = (int *) Dequeue(pq);
        return *pData;
    }
    
    void RadixSort(int arr[], int size, int limit) {
        int factor = 1;
        int * sortedArr = (int *) malloc( sizeof(int) * size );
        Queue buckets[BUCKET_NUM];
    
        for (int bucket_idx=0; bucket_idx<BUCKET_NUM; bucket_idx++) {
            QInit( &buckets[bucket_idx] );
        }
    
        for (int pos=0; pos < limit; pos++) {
    
            for (int i=0; i<size; i++) {
                int radix = (arr[i] / factor) % 10;
                enqueue(&buckets[radix], arr + i);
            }
    
            for(int bucket_idx=0, i=0; bucket_idx<BUCKET_NUM; bucket_idx++) {
                while (!QIsEmpty(&buckets[bucket_idx])){
                    sortedArr[i] = dequeue(&buckets[bucket_idx]);
                    i += 1;
                }
            }
    
            for (int i=0; i<size; i++) {
                arr[i] = sortedArr[i];
            }
    
            factor *= 10;
        }
    
        for (int bucket_idx=0; bucket_idx<BUCKET_NUM; bucket_idx++) {
            QDestroy( &buckets[bucket_idx] );
        }
        free(sortedArr);
    }

     

    참고적으로 버킷을 표현하기 위해서 9장에서 작성했던 큐를 사용하였습니다.

    기수 정렬의 성능 분석

    이제 기수 정렬의 성능을 분석해보겠습니다. 기수 정렬에서 가장 중요한 연산은 버킷의 삽입/삭제 연산입니다. 버킷은 큐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O(1)의 성능을 보입니다. 결국 limit의 크기 L, 배열 공간의 크기 N 이라 할 때, 기수 정렬은 다음 성능을 가집니다.

     

    L * N = O(N)

     

    즉,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죠.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정보만 있다면, 우리가 배운 어떤 알고리즘보다 우월한 성능을 보입니다.

     

    마치며...

    이번 시간에는 정렬 알고리즘 중 기수 정렬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우리가 여지껏 배운 알고리즘들의 성능 비교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렬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버블 정렬 O(N ^ 2)
    선택 정렬 O(N ^ 2)
    삽입 정렬 O(N ^ 2)
    힙 정렬 O(N * logN)
    병합 정렬 O(N * logN)
    퀵 정렬 O(N * logN)
    기수 정렬 O(N)

     

    사실 우리가 정렬 알고리즘을 직접 구현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의 언어들이 표준 라이브러리로 정렬 알고리즘에 대한 함수/메소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대부분의 언어들의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정렬 알고리즘의 성능은 O(N *logN)입니다. 그래도, 알고 쓰는 것과, 모르고 쓰는 것은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가 공부한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정렬 알고리즘 파트는 여기서 마치고, 다음 장에서는 자료구조 이진 탐색 트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