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판] 01. 왜 테라폼인가24년 11월 이전/Terraform Up and Running 2021. 8. 2. 20:01
이 문서는 책 "테라폼 업앤러닝"을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최대한 요약해서 책 내용을 최소로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어서, 더 친절하고 정확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책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책 링크 용어 정리 "Devops"란 Devops는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다음과 같은 핵심 가치 4가지가 존재한다. Culture Automation Measurement Sharing 이 책은 2번, 특히 인프라스트럭처 배포 자동화에 초점을 맞춘다. "IaC"란 IaC는 "Infrastructure As Code"의 약자로써,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버, DB, 네트워크, 로그, 애플리케이션 구성, 문서, 자동화된 테스트, 배포 프로세스 등 거의 모든 작업을 코드..
-
08. 쿠버네티스 핵심 개념 (3)24년 11월 이전/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2021. 7. 25. 19:42
이 문서는 인프런 강의 "데브옵스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을 듣고 작성되었습니다. 최대한 요약해서 강의 내용을 최소로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어서, 더 친절하고 정확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강의를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강의 링크 네임스페이스 namespace란 물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 동작하는 가상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이다. 약간 실제 물리서버에서 동작하는 VM과 성격이 비슷한데, 쉽게 생각해서 리소스들을 분리된 영역으로 격리시켜 관리하는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는 다음의 4가지 네임스페이스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 kubectl get namespace NAME STATUS AGE default Active 15d kube-node-lease Active 15d kub..
-
자바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하기 (2) jmx-exporter24년 11월 이전/Metric 2021. 7. 25. 16:21
개요 이 문서에서는 대표적인 자바 애플리케이션 Tomcat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jmx-exporter를 이용해서 메트릭을 수집한 후 Prometheus에 데이터 저장, Grafana 대시보드를 구축하는 것에 대하여 다룬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Tomcat과 설치 jmx-exporter와 설치 메트릭 수집을 위한 각 컴포넌트 설정 자바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을 위한 Grafana 대시보드 구축 이 문서에서 진행되는 실습 코드는 편의성을 위해 로컬 Docker 환경에서 진행되나, 실세 서버 환경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 이번 장의 코드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장 코드 : https://github.com/gurumee92/gurumee-book-prometh..
-
웹 서버 모니링하기 (2) apache-exporter24년 11월 이전/Metric 2021. 7. 23. 14:36
개요 이 문서에서는 apache-exporter를 이용해서 Apache의 커넥션 정보에 대한 메트릭을 수집한다. 그 후 Grafana, Prometheus를 이용해서 Apache 웹 서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구축하는 것에 대하여 다룬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Apache 서버와 설치 apache-exporter와 설치 메트릭 수집을 위한 각 컴포넌트 설정 Apache 서버 모니터링을 위한 Grafana 대시보드 구축 이 문서에서 진행되는 실습 코드는 편의성을 위해 로컬 Docker 환경에서 진행되나, 실세 서버 환경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 이번 장의 코드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장 코드 : https://github.com/gurumee92/..
-
서비스 메트릭 모니터링하기 (2) grok-exporter24년 11월 이전/Metric 2021. 7. 22. 16:29
개요 이 문서에서는 grok-exporter를 이용해서 Nginx의 액세스 로그를 분석하여 RPS, 상태 코드 개수 등의 서비스 메트릭을 수집한다. 그 후 Grafana, Prometheus를 이용해서 서비스 메트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구축하는 것에 대하여 다룬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Nginx와 설치 grok-exporter와 설치 메트릭 수집을 위한 각 컴포넌트 설정 서비스 메트릭 모니터링을 위한 Grafana 대시보드 구축 이 문서에서 진행되는 실습 코드는 편의성을 위해 로컬 Docker 환경에서 진행되나, 실세 서버 환경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 이번 장의 코드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장 코드 : https://github.com/gu..
-
07. 쿠버네티스 핵심 개념 (2)24년 11월 이전/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2021. 7. 14. 21:16
이 문서는 인프런 강의 "데브옵스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을 듣고 작성되었습니다. 최대한 요약해서 강의 내용을 최소로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어서, 더 친절하고 정확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강의를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강의 링크 ReplicationController ReplicationController는 Pod을 감시하고 있다가 문제가 발생할 때 대체 Pod을 생성하는 리소스이다. 가용성과 자가 치유를 할 수 있으며, 수동/자동으로 수평 스케일링도 가능하다. ReplicationController의 필수 요소는 다음과 같다. Label Selector Replicas Pod Template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src/ch07/k8s/simple-app-rc-v1.yaml ap..
-
알림 규칙24년 11월 이전/Metric 2021. 7. 10. 11:12
이 문서는 프로메테우스 공식 문서 "Alerting Rules"를 번역한 문서입니다. 원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Alerting rule은 PromQL을 기반으로 알람 조건을 정의하고, 외부 서비스에 FIRING된 알람들을 전달합니다. 알람 표현식이 지정된 시점부터 하나 이상의 벡터 요소를 생성하게 될 때마다 알람 라벨 세트가 ACTIVE 상태가 된 것으로 계산합니다. alert rule 정의하기 Alerting rule은 recording rule과 같은 방식으로 Prometheus에서 설정 됩니다. 다음은 알람을 생성하는 rule file의 예입니다. groups: - name: example rules: - alert: HighRequestLatency expr: job:req..
-
06. 쿠버네티스 핵심 개념 (1)24년 11월 이전/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2021. 7. 9. 20:41
이 문서는 인프런 강의 "데브옵스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을 듣고 작성되었습니다. 최대한 요약해서 강의 내용을 최소로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어서, 더 친절하고 정확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강의를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강의 링크 큐브 시스템 컴포넌트란 큐브 시스템 컴포넌트란 쿠버네티스(kubenetes)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 컴포넌트입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마스터 노드(Control Plane Node)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etcd : 모든 클러스터 데이터를 담는 쿠버네티스의 저장소이다. kube-apiserver : Kubernetes API를 노출한다. 모든 컴포넌트는 이 컴포넌트를 통해서 통신한다. kube-scheduler : 생성된 Pod를 어떤 Node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