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무식하게 풀기(Brute Force)24년 11월 이전/레거시-알고리즘 2019. 10. 15. 10:46
이 문서는 책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을 토대로 만들어졌습니다. Contents 무식하게 풀기란? 예제 1 - N까지의 합 예제 2 - N개 중 R개 고르기 결론 무식하게 풀기란? "Computer Science 정복하기" 두 번째 프로젝트 알고리즘의 첫 번째 장 "무식하게 풀기"입니다. 무식하게 푸는 것은 알고리즘 설계의 가장 기초로써, 컴퓨터의 빠른 성능을 이용하여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탐색하는 방법입니다. 흔히들 "Brute Force" 혹은 "완전 탐색 알고리즘"이라고 부르는 이 알고리즘 패러다임에 대해서 몇 개의 예제를 통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적으로 이 알고리즘 패러다임은 문제를 반복되는 작은 조각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재귀 호출을 이용한 반복문을 주로 이용합니다..
-
알고스팟 문제 풀이 CLOCKSYNC24년 11월 이전/레거시-알고스팟-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2019. 10. 12. 11:35
책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에 나오는 algospot 문제 "CLOCKSYNC"에 대한 풀이입니다. 목차 문제 해결 전략 코드 전문 CLOCKSYNC 문제 URL은 다음과 같습니다. CLOCKSYNC URL 문제 해결 전략 제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체택한 방법은 "무식하게 풀기"입니다. 여기서 문제의 핵심은 시계는 3, 6, 9, 12 만을 가리킨다는 것입니다. 무슨 말이냐면, 첫 번째 테스트케이스를 살펴봅시다. 0~15번까지 시계의 상태는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모든 시계를 12시를 가리키기 위해서 최소한의 스위치를 누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1, 2, 3, 4, 5번 시계와 연결된 8번 스위치를 2번 누르는 것입니다. 순서로 쪼개보면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겠지요. 8번 스위치를 1번 누..
-
알고스팟 문제 풀이 BOGGLE24년 11월 이전/레거시-알고스팟-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2019. 10. 8. 16:59
책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에 나오는 algospot 문제 "BOGGLE"에 대한 풀이입니다. 목차 문제 해결 전략 - 무작정 풀기 코드 전문 - 무작정 풀기 문제 해결 전략 - 동적 계획법 코드 전문 - 동적 계획법 BOGGLE 문제 URL은 다음과 같습니다. BOGGLE URL 문제 해결 전략 - 무작정 풀기 먼저 제가 접근한 문제 해결 전략은 "무작정 풀기"입니다. 문제의 입력 분석과 해결 조각 찾기 우리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는, 5x5의 보드판 board, 길이 10 이하의 문자열 s라는 입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실제 테스트 케이스 1개당 문자열 N개를 받습니다만, 결국 이 문제의 핵심은 "보드판에서 인접한 위치만 이동함으로써 문자열을 만들 수 있느냐"입니다. main 함수의..
-
알고스팟 문제 풀이 BOARDCOVER24년 11월 이전/레거시-알고스팟-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2019. 10. 6. 16:48
책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에 나오는 algospot 문제 "BOARDCOVER"에 대한 풀이입니다. 목차 문제 해결 전략 코드 전문 문제 해결 전략 BOARDCOVER 문제 URL은 다음과 같습니다. BOARDCOVER URL 제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체택한 방법은 "무식하게 풀기"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이 풀 수 있습니다. 보드를 좌표 (0, 0) 부터 시작해서 보드 끝 좌표 (W-1, H-1)까지 다음을 반복합니다. 블럭을 넣을 수 있는 좌표 (x, y)를 찾습니다. (x, y)에 L자 블럭을 넣을 수 있으면 넣습니다. 계속 채워나가다, 좌표 끝에 도달했을 때, 보드판을 모두 채웠으면, 그 개수를 셉니다. 사실 이렇게 해결책을 제시해도 말이 쉽지 우리가 바로 알고..
-
알고스팟 문제 풀이 PICNIC24년 11월 이전/레거시-알고스팟-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2019. 9. 27. 11:10
책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에 나오는 algospot 문제 "PICNIC"에 대한 풀이입니다. 목차 문제 해결 전략 코드 전문 문제 해결 전략 PICNIC 문제 URL은 다음과 같습니다. 급하신 분들은 바로, 코드 전문으로 넘어가주세요! PICNIC URL 제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체택한 방법은 "무식하게 풀기"입니다. 먼저 이해를 위해서 3번째 입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n = 6, m = 10 set = (0, 1), (0, 2), (1, 2), (1, 3), (1, 4), (2, 3), (2, 4), (3, 4), (3, 5), (4, 5)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내 봅시다. 먼저 (0, 1) 세트를 골랐을 때, 다음으로 고를 수 있는 친구의 셋은 (2, 3), (2, 4), (..
-
자료구조 AVL 트리와 구현24년 11월 이전/레거시-자료구조 2019. 9. 23. 22:53
Contents 시작하며... AVL 트리의 이해 BST의 문제점 균형을 잡기 위한 회전 LL 회전 RR 회전 LR 회전 RL 회전 AVL 트리의 구현 AVL 트리 헤더 AVL 트리 생성 AVL 트리 파괴 AVL 트리 데이터 출력 AVL 트리 데이터 검색 AVL 트리 데이터 삽입 AVL 트리 데이터 삭제 AVL 트리 균형 조정 마치며... 시작하며... 구르미의 "Computer Science 정복하기 - 자료구조"의 스무 한 번째 장입니다. 이 장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VL 트리의 이해 AVL 트리의 구현 이 장의 소스코드는 다음을 참고해주세요. url: https://github.com/gurumee92/datastructure branch: ch21 code directory: sr..
-
그래프 응용 2부 최소 신장 트리(MST)와 크루스칼 알고리즘24년 11월 이전/레거시-자료구조 2019. 9. 21. 18:19
Contents 시작하며... 최소 신장 트리의 이해 프림 알고리즘의 이해 크루스칼 알고리즘의 이해와 구현 마치며... 시작하며... 구르미의 "Computer Science 정복하기 - 자료구조"의 스물 다섯 번째 장입니다. 이 장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소 신장 트리의 이해 프림 알고리즘의 이해 크루스칼 알고리즘의 이해와 구현 이 장의 소스코드는 다음을 참고해주세요. url: https://github.com/gurumee92/datastructure branch: ch25 code directory: src/ch25 자 시작합시다! 최소 신장 트리의 이해 이번 시간에는 그래프의 응용중 하나인 **최소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 이하 MST)**에 대해서 알아봅니..
-
그래프 응용 1부 DFS와 BFS24년 11월 이전/레거시-자료구조 2019. 9. 20. 16:29
Contents 시작하며... 깊이 우선 탐색 DFS DFS 이해 DFS 구현 - 스택 DFS 구현 - 재귀 너비 우선 탐색 BFS BFS 이해 BFS 구현 마치며... 시작하며... 구르미의 "Computer Science 정복하기 - 자료구조"의 스물 네 번째 장입니다. 이 장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DFS의 이해와 구현 BFS의 이해와 구현 이 장의 소스코드는 다음을 참고해주세요. url: https://github.com/gurumee92/datastructure branch: ch24 code directory: src/ch24 자 시작합시다! 깊이 우선 탐색 DFS 먼저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탐색하는 방법 중 하나로 깊이 우선 탐색, 영어로는 "Depth First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