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
3장 템플릿 (1)24년 11월 이전/책장 속 먼지 털기 - 토비의 스프링 2020. 11. 30. 07:06
책장속 먼지털기 스터디 4차 스터디 날짜 : 2020.11.30 작성 날짜 : 2020.11.29 ~ 11.30 페이지 : 209 ~ 240 템플릿이란? 책에서 나온 "템플릿"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바뀌는 성질이 다른 코드 중에서 변경이 겅의 일어나지 않으며 일정한 패턴으로 유지되는 특성을 가진 부분을 자유롭게 변경되는 성질을 가진 부분으로부터 독립시켜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쉽게 말하면 변경되지 않는 부분을 남겨두고(템플릿) 변경되는 코드 부분을 독립시키는 것이다. UserDao의 문제점? 지난 장들을 거쳐 관심사를 분리하고 의존성 주입 같은 기술들을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UserDao는 아직 고쳐야할 점이 남아있다. 바로 "예외 처리"이다. public class Use..
-
2장 테스트24년 11월 이전/책장 속 먼지 털기 - 토비의 스프링 2020. 11. 29. 15:23
책장속 먼지털기 스터디 3차 스터디 날짜 : 2020.11.23 (불참) 작성 날짜 : 2020.11.26 - 2020.11.27 페이지 : 145 ~ 207 스프링의 두 번째 가치, 테스트 원래 절로 뺼 필요는 없지만, 주제가 "테스트"인 만큼 책에서 설명하는 가치를 짧게나마 짚고 가는게 좋을 것 같아서 따로 빼두었다. 저자 토비님은 스프링이 개발작에게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 2가지를 다음과 같이 뽑았다. 개발자가 IoC/DI를 이용해서 손쉽게 OOP를 적용하게끔 도와주는 것. 테스트 테스트는 만들어진 코드를 확신하게 해주며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해준다. 이제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어떻게 테스트 코드를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UserDaoTest의 문제점 UserDaoTest의 문제..
-
1장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2)24년 11월 이전/책장 속 먼지 털기 - 토비의 스프링 2020. 11. 28. 20:54
책장속 먼지털기 스터디 2차 스터디 날짜 : 2020.11.16 (불참) 작성 날짜 : 2020.11.14 ~ 15 페이지 : 102 ~ 143 싱글톤 레지스트리? 우리가 만든 DaoFactory를 직접 사용하는 것과, @Configuration 애노테이션으로 ApplicationContext에 등록해서 사용하는 것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차이는 스프링 빈이냐 아니냐의 차이다. 스프링 빈은 이전에 언급했 듯이, 스프링 IoC 컨테이너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객체들이다. 스프링 빈은 특정 스코프를 가지는데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를 가진다. 쉽게 말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딱 1개의 객체만 만들어진다. 이 후 챕터에서 다룰 것이지만 한 발 앞서서 JUnit(나는 JUnit5이다.) ..
-
1장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1)24년 11월 이전/책장 속 먼지 털기 - 토비의 스프링 2020. 11. 28. 20:43
책장속 먼지털기 스터디 1차 스터디 날짜 : 2020.11.09 작성 날짜 : 2020.11.08 ~ 09 페이지 : 53 ~ 102 초 간단!하지만, 초 난감한 DAO를 만들어보자 책에 나온대로, id, name, password 세 개의 프로퍼티를 가진 User클래스를 만든다.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Getter @Setter @ToString @EqualsAndHashCode public class User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password; } 참고! 자바 빈이란 위의 User 클래스는 자바빈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바빈이라고 말..